나의 이야기

[스크랩] 번개답산-순국선열묘역 탐방

범산 2018. 2. 4. 10:14

학회 2018년 2월 정기답산은 설명절 관계로 실시하지 않습니다.

대신에 번개답산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니 많은 참가 바랍니다.

 

순국선열묘역 탐방

 

1. 일   시:  2018년 2월 18일(요일) 오전 11시-오후 5시

2. 집결지: 서울 강북구 수유동 567-8  사월에 쭈꾸미 식당(4.19묘역 입구)

    주 차 :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4.19국립묘지 주자창에 주차


3. 대상: 카페 정회원이상

4. 안내: 최명우(휴대폰 010-3851-9568)   류호기(010-5335-4899)

5. 회비: 3만원 (초, 중, 고 청소년은 1만원)

※답산 당일 현장에서 납부 할 경우 4만원입니다.

[회비입금:국민은행: 9186-8186-851

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금주: 류호기(학회정기답산)]


6. 이동방법: 약 6km 내외 도보이동(낮는 산이므로 힘들지 않음)

7. 복 장 : 동절기 산행에 필요한 복장

8. 탐방묘역:


(1)  419국립묘지:

(2) 민주열사묘지

**시간관계상 답산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.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생몰

현공풍수

형기풍수

경력사항

 

1

엄상섭

19071960

[517年次]

乾坐巽向(?)

상산하수

양호

4·19 직후내각제 헌법기초위원장

*친일인명사전 에 게재

2

현제명

19021960

[517年次]

亥坐巳向333°

상산하수

재혈실수

*친일인명사전 수록

3

신숙

부부

18851967

[64年次]

乾坐巽向316°

쌍성회향

보백지지

한국독립군

참모장

4

김도연

부부

18941967

[64年次]

戌坐辰向305°

쌍성회향

보백지지

1960

민의원 부의장

5

서상일

18861962

[519年次]

乾坐巽向318°

상산하수

무맥

독립운동가.

제헌의원

6

양일동

19121980 

[617年次]

壬坐丙向341°

쌍성회좌

보백지지

1970년대

통일당 당수

7

김창숙

18791962

 [519年次]

壬坐丙向340°

상산하수

보백지지

상해 임정

의정원 부의장

8

류 림

1894~1961

 [520年次]

癸坐丁向 14°

󰁩왕산왕향

보백지지

상해 임정

국무위원

9

이시영

18691953

 [510年次]

亥坐巳向328°

상산하수

양호

초대 부통령

10

가인

김병로

18871964

[61年次]

戌坐辰向302°

쌍성회향

보백지지

초대 대법원장

11

이준

열사

18591907

1963년 이장

[520年次]

辛坐乙向(替卦)

280°

󰁩왕산왕향

보백지지

헤이그 밀사 순국

12

해공

신익희

18921956

[513年次]

庚坐甲向251°

상산하수

보백지지

3대 대통령선거 야당후보

13

신하균

19181975

[612年次]

申坐寅向???

󰁩왕산왕향

무맥

신익희 아들

광복군 출신 국회의원

14

이명룡

 18731956

  [513年次]

酉坐卯向277°

통일연수원건축관련=이장

3·1운동 민족대표 33

15

광복군합동18

~1967

 [64年次]

乾坐巽向316°

상산하수/伏吟

무맥

 




(14) 지청천(1888∼1959[5運 16年次] )=묘광복군 총사령관

(15)김범부(1897∼1966[6運 3年次] )김동리의 맏형이며 뛰어난 한학자

(16)상해 임정 의정원 의장을 지낸 이강(1878∼1964[6運 1年次])

(17) 하균(1918∼1975[6運 12年次])부자의 묘: 광복군 출신 국회의원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(18)조병옥(1894~1960[5運 17年次])=묘 25:

(++)본원정사()=절23-24:

 

애국선열 묘소가 모여 있다. 4 ·19국립묘지가 출발점. 입구 소공원을 지나 쌀집 앞에서 오른쪽 길로 들어가 큰 향나무가 있는 주택 옆 골목 끝 산 언덕에 음악가

 

1 현 제명(1902∼1960)과 4·19 직후 내각제 헌법기초위원장

2 엄상섭(1907∼1960)의 묘가 마주보고 있다.다시 향나무집으로 내려와 산 아래 수유3매표소에서 입장권을 끊는다. 표 한장이면 그 날은 몇 번이고 출입할 수 있다.매표소 뒤에서 오른쪽 길로 가면 한국독립군 참모장

3 신숙(1885∼1967)부부의 쌍분이 있고, 거기서 왼쪽으로 잠시 더 오르면 1960년 민의원 부의장을 지낸

4 김도연(1894∼1967)부부 합장묘가 나온다. 그 앞으로 난 길로 4분쯤 거리에 독립운동가이자 제헌의원

5 서상일(1886∼1962)의 묘가 있다.길은 백련사 길과 만나고, 몇 걸음 위에는 심산

6 김창숙(1879∼1962)의 묘. 그는 상해 임정 의정원 부의장으로 해방 후 성균관대학을 창설하고 초대 학장에 취임하기도 했다.이웃해 1970년대 통일당 당수

7 양일동(1912∼1980), 조금 올라가 길가 왼쪽 바위언덕에 소설가 김동리의 맏형이며 뛰어난 한학자

8 김범부(1897∼1966)의 묘가 있다.길을 되돌려 백련사 입구 매표소 위에서 오른쪽 개천을 따라 오르면 다리 건너 상해 임정 국무위원

9 유림(1894∼1961)의 묘비가 철문 안에 서 있다.개천 몇 걸음 상류의 나무다리를 건너 조금 위, 표석을 따라 올라가면

광복군 18위의 합동묘와 초대 부통령

10 이시영(1896∼1953)묘가 차례로 있으며, 합동묘 왼쪽 길로 조금 더 올라간 곳에는 상해 임정 의정원 의장을 지낸

11 이강(1878∼1964)이 쓸쓸히 잠들어 있다.합동묘 아래 약수터 쌍수천 앞을 가로질러 희미한 산길을 따라가면 광복군 총사령관

12 지청천(1888∼1959)의 옛 묘터. 거기서 운가사 길과 합류해 조금 올라간 곳에 초대 대법원장 가인

13 김병로(1887∼1964)의 묘가 있다.계류를 건너 성도사 앞에서 하산길로 접어들면 상해 임정 의정원 부원장, 제3대 대통령선거 야당후보 해공

14 신익희(1892∼1956) ·광복군 출신 국회의원

15 하균(1918∼1975)부자의 묘가 함께 있다.아카데미 하우스 앞 마을버스(1번)종점에서 개천을 건너면 헤이그 밀사로 순국한

16 이준(1859∼1907)열사 묘역이 잘 단장돼 있고, 3 ·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 분인

17 이명룡(1873∼1956)의 묘는 통일연수원 본관 옆에 있다.




//

관련



출처 : 대한현공풍수지리학회
글쓴이 : 中山 류호기 원글보기
메모 :